Wimbledon Common 97_127x127Cm_Pigment Print_2013

 

 

Tree Portrait

Tree rings contain a chronological sense of time as if the time of a tree materializes in a history book. The bark of a tree represents accumulated time, revealing it as a condensed sense of time reminiscent of the cover of a history book gathered over hundreds of years. In other words, tree bark is a storage piled up layer upon layer as time is refined, the tree is a surface on which condensed time is expressed. A tree, which cannot be defined as having a certain direction, is portrayed with the width of time on a surface that surrounds the depth of time. If Chronos Time implies chronological time and Kairos Time implies the supreme moment, a tree portrait becomes a balanced scene between them both.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Yuenong 99_60x60in_Pigment Print_2012

 

 


St Peters Square 33_60x60Cm_Pigment Print_2012

Hyde Park 27_60x60Cm_Pigment Print_2012

 

 

Grand 'Rue 73_182x102Cm_Lamda Print_2012

 


Koskenranta 99_182x102Cm_Lamda Print_2012

 


Corrib Village 96_102x102Cm_Pigment Print_2015

 


Reading 106_147x198Cm_Lamda Print_2013

 


Wimbledon Common 80_114x114Cm_C Print_201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nstallation view_Gallery DOS_Tree Portrait_2013

 

 

Deposited urban space time presented by trees

____ Modern city generally the place for human culture and it is a space with large population density.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aturally advanced into urban expansion, and this transformed into the standardized aspect of the reinforced construction being built with concrete and glass. Artist Park Jin Hee admires the city, a magnificent flow in civilization through the eyes of a traveler. The familiarity displayed by usual urban sceneries though the areas act as different causes for the views of the artist to remain in the uncivilized primitive life. Additionally, it is discovered that trees which grow by accommoda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ach hold different faces. The contradiction between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in the city is what stimulates the artist. The concentration time of finding newness from accustomed familiarity arouses the existence of 'trees', which is recognized as a common noun.

____ Trees hold the life span ranging from hundreds to thousands of years. Trees, implanted amongst the order in the city, is the existence which enables human beings to experience themselves as a part of the nature and grows for a long time. To the artist, this undistinguished living organism is accepted as the medium which takes in the city as the base of life and expectorate it intactly. Amongst them, epidermis is the part which directly endures through the many years and surrounds the living organism. The complex and diverse elements of trees such as the types, geographical features, and climates cause influence on the epidermis, the external figure of the form. The rough and simple cracks which form as a result of growth of the trees reminds one of the deeply caved wrinkles that form with time. These wrinkles reflect on the period of space time. In other words, trees possess unfixed and infinite texture. It is due to the fact that it existed till now and will continuously change in the future. In the same way, the artist aims to express the flow of space time created by the surface of trees, in which the past is deposited, through the artwork.

____ Park Jin Hee includes the natural patterns and change in color attained from the epidermis of the trees in pictures. Additionally, a series of images taken in places all around while leaving time interval are spread and pieced together in form of a panorama. The space structure held by trees become disassembled by the artist and recombinant as a plane. Here, the artist applies the montage technique through the use of computer program to induce natural manipulation and create an unrealistic phenomenon which resembles reality. Collision exists between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in the distortion of space time dissolved within the texture of trees. This mismatches the perception of subjects who view this artwork.

____ We can discover the unnaturalness of space time in the hidden side of lyrical image which seems to not contain any emphasis or exaggeration. In the same way, to Park Jin Hee, the narrow borderline between truth and fabrication granted by the medium called pictures is an appropriate attribute in bringing out 'unfamiliar familiarity', which becomes the basis of the operation. The 'picture of trees', which is completed while creating a delicate barrier, is a unique method of approach of the artist who remembers the familiar city in an unfamiliar manner, resembling a page from a personal diary.

____ Trees are materials which inspire fresh impression into the usual sceneries that are displayed in different cities. Space time of a specific city is implied in the epidermis of the trees created through nature and time, and the artist is reminded of the image of the city where trees were tall standing. The artwork is completed through multiple stages, ranging from the selection of targets and collection of images to the artificial operation proces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ontage technique and panorama form. When the screen where space time is broken up and re-edited so that everything is exposed at once, like an identification picture, is observed, hidden small pieces of dislocated images can be found. It is a form of the artist's small whispers to quietly stimulate our awareness as we live our daily lives drenched in our habitual routines. In the same way, the usual yet unusual minor spaces which each exist in the portraits of unique trees draw our attention into the screen.

_Gallerydos, Kim Mi Hyang _201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사이

____ 박진희는 몇 년 전 원목가구를 만드는 직공처럼 작업했던 적이 있다. 누가 주문한 것도 아닌데도 책상, 옷장, 의자, 선반 같은 가구들을 능숙한 솜씨로 기꺼이 만들어냈다. 그가 원목을 다룰 때 느꼈던 즐거움은 쓸모 있는 물건들을 만드는 데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깔끔하게 마름질 된 나무와 그 표면을 가로지르는 무정형의 나뭇결에 마음이 끌렸다. 특히 작업이 마무리 되었을 때, 인간의 쓸모에 응답하는 가구의 외곽선과, 나무로 생장하던 시절의 궤적을 나타내는 나뭇결이 오묘하게 공존하는 모습이 좋았다. 그대로 놓아두면 가구로 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나뭇결에 물감을 입혀 존재감의 균형을 맞추었다. 그러자 서로 섞일 수 없는 두 차원이 하나의 대상 위에 교차하였다. 그것은 인간의 일상에 속한 가구인 동시에 자연의 흔적을 품고 있는 나무였다

____ 이처럼 일상적인 삶에 충실하면서도, 그 속에 숨겨져 있는 낯선 차원을 놓치지 않으려는 욕구는 박진희의 삶과 작품에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는 버스, 기차, 비행기와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해 자주 여행을 떠나면서도, 시공간을 규격화시키는 교통수단에 대한 혐오감을 버리지 않았다. 그에게 진정한 여행이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를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용의주도하게 구획되어 있는 시공간의 틈새를 경험하는 것이다. 일상의 합목적성을 용해시킬 수 있는 시공간을 만끽할 수 있다면 어디가 되었든 그에게는 훌륭한 여행지가 되었다.

____ 일상을 벗어나는 시공간에 대한 관심은 그의 작품에서도 일찍이 나타났다. 그는 미술대학을 졸업하던 시기에 'Raindrop'이라는 표제와 함께, 자그마한 소용돌이 모양을 다양한 질료 위에 새겨 넣은 작품을 잇달아 제작하였다. 빗방울처럼 산개되어 있는 소용돌이 모양은 우주에 흩어져 있는 은하와 마찬가지로 주변 공간과 아랑곳없이 자신의 동심원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박진희가 의식을 했건 안했건, 그것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에서 다른 차원으로 빠져드는 통로 역할을 했던 마를렌 과자의 모양과 동일한 것이다. 그가 즐겨 다루는 재료인 나무의 나이테도 그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나선형의 동심원을 그린다. 소용돌이 형태는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일상적인(크로노스적인) 시공간과 대립되는 내밀한 (카이로스적인) 시공간을 나타낼 때 흔히 사용되는 도상이다. 소용돌이 형태에 대한 이끌림은 나뭇결에 대한 공감, 일상의 틈새를 여행하고자 하는 욕구와 무척 동질적인 것이다.

____ 그 이후 박진희의 작품에서 소용돌이 모양은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고, 일상적인 시공간 속으로 스며들었다. 글머리에 언급했듯 그는 가구, 액자, 마루 등 목재로 이루어진 오브제와 그것의 표면에 드러난 나뭇결의 흐름에 탐닉하였다. 나무가 목재로 재단되었을 때, 나이테의 소용돌이는 나뭇결이 된다. 박진희는 자신이 익숙하게 접하는 가구나 액자와 같은 오브제에서 그러한 소용돌이의 편린을 보았을 것이다. 그는 카이로스적인 시공간이 크로노스적인 시공간에 침투했을 때, 직선이나 평면 위를 굽이치는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깨닫게 되었다. 오랫동안 두 차원의 시공간의 균형 있는 공존을 나타내었던 박진희의 작품은 점차 직선과 평면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곡선의 흐름을 나타내기 시작하는데, 결국 형식과 내용에 있어 전면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____ 박진희의 사진 연작은 그러한 변화의 결과물이다. 오브제의 평면을 은밀하게 타고 흐르던 나뭇결은 이제 사진 이미지로 선명하게 구현된 나무의 표면이 되어 평면을 압도한다. 그의 사진은 익숙하게 접하는 가로수의 표면을 촬영해 놓은 이미지이지만 처음 본 듯 낯설고 생경한 느낌을 준다. 파노라마 형식으로 펼쳐져 있는 화면은 거세게 흘러가는 물결의 표면처럼 좌에서 우, 혹은 우에서 좌를 향하는 속도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면 앞에서 일상적 삶의 방향감각은 무의미해진다. 단지 내부의 원심력에 따라 횡으로 전개되는 나무 표면의 운동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이제 일상의 시공간은 완전히 상실된 것 같다. 박진희의 작품 세계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두 차원 사이의 균형이 깨어지고 소용돌이가 범람한 것처럼 느껴진다.

____ 하지만 박진희의 사진을 인내심을 가지고 계속해서 들여다보면, 일상의 시공간은 여전히 단단하게 유지되어 있고 소용돌이 또한 범람하지 않았음을 깨닫게 된다. 두 차원 사이의 균형도 변함이 없다. 이 사진은 잠수정을 타고 들어가서 보는 소용돌이의 내부와 같다. 바다 속을 내다보는 잠수정의 창문이 빈틈없이 견고하듯이, 나무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프레임의 직선과 평면도 어느 때보다 튼튼하게 낯선 차원이 범람하는 것을 제어한다. 사진을 찍었던 장소의 명칭을 제목으로 삼은 점도 이 사진과 일상과의 밀접한 관계를 드러낸다.

____ 박진희의 사진 연작의 모든 제목에는 장소명과 함께 표기된 숫자가 있다. 마치 주소의 번지수인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그 숫자는 아무런 설명 없이 놓여 있어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것은 이 사진의 가장 흥미로운 감상 포인트를 제공한다. 그 숫자는 바로 화면의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사진의 개수이다. 나무의 표면을 평면 위에 전개시켜 놓은 파노라마 이미지는 어떠한 봉합선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단일한 시점으로 촬영한 통합된 이미지인 것처럼 인식된다. 그 때문에 화면이 구현하는 낯선 시공간의 완결성과 독립성이 더욱 강조되어 느껴진다. 하지만 그것은 낱장의 사진을 제목의 숫자만큼 조합하여 파노라마처럼 구성해 놓은 사진 몽타주일 따름이다. 마치 잠수정에 탑승한 승객이 바다 속을 몸소 유영하는 것 같은 기분에 빠져들다가도 문득 자신이 안전한 실내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듯이, 박진희의 사진 앞의 관객도 파노라마가 제공하는 낯선 시공간에 몰입하다가도 제목에 표기된 숫자의 의미를 듣고 문득 일상의 시공간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관객이 감상하고 경험한 것은 몽타주로 구성해 놓은 파노라마, 즉 크로노스적인 시공간을 조합해서 만든 카이로스적인 시공간이다.

____ 박진희는 일상 생활 속의 어느 날, 어느 장소에 눈여겨 두었던 가로수를 향해 카메라를 들고 가까이 다가갔을 것이다. 그리고 그 주변을 몇 차례 돌면서 제목에 표기된 숫자만큼 사진을 찍었을 것이다. 그가 찍은 낱장의 사진은 어느 날, 어느 장소의 시점이 담긴 평범한 클로즈업 샷일 뿐이었다. 하지만 박진희는 그 낱장의 사진에서 어느 날, 어느 장소라는 배열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어떤 진동을 느꼈던 것 같다. 그래서 예전에 원목 가구의 직공이 되어 가구를 제작하였듯이, 이번에는 사진 몽타주의 전문가가 되어 낱장의 사진을 정교하게 이어붙이는 작업에 전념하게 되었다. 그는 가구를 제작할 때 원목의 나뭇결에 매혹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사진 몽타주 작업을 하면서 드러나는 나무 표면의 생경한 파노라마에 마음을 빼앗겼다. 그는 자신이 느끼는 파노라마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몽타주의 이음새를 모두 소거시켜 버렸다.

____ 그 결과 몽타주는 사라지고 파노라마만이 남았다. 그가 사진을 찍었던 어느 날, 어느 장소는 사라지고, 달력에도 없고 지도에도 없는 어떤 생경한 시공간이 나타났다. 가구를 제작했을 때 두 차원 사이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나뭇결에 채색을 하였듯이, 파노라마가 압도적인 이번 작업에도 균형을 맞추는 손길이 필요했다. 그러나 그는 크게 손을 대지 않았다. 사진 액자의 평면 프레임, 제목에 지명과 숫자를 표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박진희도 이제 일상과 비일상 사이, 즉 크로노스와 카이로스의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방법이 무척 다양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_ 강 정 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박사과정) _201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